최민호 세종시장이 '세종한글축제' 및 '한글 국제 프레 비엔날레' 성과와 향후 비젼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세종시(시장 최민호)는 13일 오후 시청 정음실에서 지난 9일부터 열린 '세종한글축제' 및 '한글 국제 프레 비엔날레' 성과와 향후 비젼에 대해 설명하는 언론 브리핑을 열었다.

세종시, 31만 명 역대 최다 방문 '세종한글축제' 성공적 개최

세종시가 579돌 한글날을 기념하며 한글문화도시 원년의 의미 있는 성과를 거두었다. 지난 10월 9일부터 11일까지 열린 '세종한글축제'는 31만여 명의 역대 최다 방문객을 기록하며 성공적으로 마무리되었다.

같은 기간 세계 최초로 한글을 주제로 열린 '한글 국제 프레 비엔날레' 역시 5만 3천여 명의 관람객을 유치하며 한글 문화예술의 대중성과 세종시의 문화적 위상을 확고히 한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세종, 한글을 품다" 주제로 다채로운 프로그램 선보여

올해 '세종한글축제'는 "세종, 한글을 품다"를 주제로 예산 절감에도 불구하고 풍성한 프로그램을 선보였다. 개막식에서는 세계태권도연맹 시범공연과 드론 연출, 폐막식에서는 국립심포니콘서트오케스트라 공연과 불꽃놀이가 시민들의 큰 호응을 얻었다.

특히, '세종한글축제'로 명칭 변경 후 첫 행사였던 만큼, 시민기획 공모를 통해 엄선된 87개의 프로그램들이 진행되어, '타일러 한글과자'가 3시간 만에 완판된 '한글상품박람회', 1만여 명이 참여한 '전국 노래자랑 한글문화도시편'이 인기를 끌었으며, 1만 명의 '한글런'과 '우리말‧글 사용 선언' 등 시민 참여형 프로그램을 통해 한글의 문화적 가치를 함께 나눴다.

'한글 국제 프레 비엔날레', '세종 한글 미술관' 건립으로 지속 가능성 확보

세계 최초 한글 주제의 '한글 국제 프레 비엔날레'는 42일간 총 5만 3천여 명의 관람객을 동원하며 한글 문화예술의 잠재력을 보여주었다. 이는 2027년 제1회 한글 비엔날레의 방향성을 제시하는 중요한 자리로, 세종시는 지속 가능한 전시 환경 조성을 위해 세종중앙공원 내 구 공원관리사업소 건물을 활용한 '세종 한글 미술관' 건립을 추진한다. 내년 10월 개관 기념 전시를 목표로 준비 중인 이 미술관은 2027년 비엔날레와 연계하여 더욱 보강된 전시와 체험 프로그램을 제공할 예정이다.

한글문화도시 세종, 미래 비전 향한 지속적 노력

세종시는 이번 축제와 비엔날레의 경험을 바탕으로 한글문화 중심도시로 도약하겠다는 포부를 밝히면서, 축제 중 부족했던 편의시설, 주차 공간, 대중교통 불편 등 개선점을 보완하여 시민 눈높이에 맞는 축제로 발전시켜 나간다는 방침이다.

또한, '한글문화 공동체' 출범을 계기로 다양한 한글문화 사업을 시행하며 세종대왕의 한글 창제 정신을 이어가겠다고 강조했다. 세종시는 한글과 역사, 예술, 교육 등 다양한 분야의 융합을 통해 시민과 함께하는 한글문화 축제의 장을 지속적으로 만들 계획이다.

최민호 세종시장은, "세종시는 그동안 도시의 문화경쟁력을 높이고, 한글문화도시의 정체성을 갖추기 위해 노력한 결과, 올해 한글문화도시 세종은 다방면에서 의미 있는 성과를 거두었다"면서, "우리시는 한글문화도시 비전을 착실히 이행해 세종대왕의 한글 창제에서 나타난 창조 정신을 본받아, 한글문화도시 비전이 도시 경쟁력은 물론 국가 경쟁력을 견인하는 기폭제임을 확신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