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교진 세종시 교육감이 '2025년도 세종이도프로젝트’ 추진 계획에 대해 설명하는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세종시교육청(교육감 최교진)은 24일 오전 교육청 대회의실에서 ‘2025년도 세종이도프로젝트’에 대해 설명하는 기자회견을 열었다.

이도프로젝트는 세종대왕의 이름인 ‘이도’와‘ 세종공계 인재 약’의 중의적 표현으로, ‘생각이 수학이 되다 - 꿈이 과학이 되다 - 디지털‧AI로 생각과 꿈을 잇다’라는 비전 아래, 세종대왕의 과학기술 업적을 본받아 학생들이 수학적 사고력과 AI기반 디지털 역량을 바탕으로 과학적 호기심을 미래의 꿈으로 실현하는 세종의 과학․수학․정보 융합교육 정책이다.

세종시교육청에서는 이도프로젝트를 추진하기 위해 ▲교과 간 연계와 융합을 강화하기 위한 통합비전과 ▲학생 주도 체험과 탐구활동 중심 학습체계 정립과 집중 지원 ▲학교 안 과학․수학․정보 첨단 학습공간 구축 및 실험과 탐구를 도와줄 교육과정 지원 인력 배치, 인공지능 교수학습 통합 플랫폼의 3대 인프라 구축 ▲교사의 융합적 지도 역량 향상 지원 등 네가지 추진방향을 설정했다.


또한, ▲학생 주도 체험과 탐구중심 학습 및 지원체계를 정립과 ▲세종이도프로젝트 실행 기반 구축 ▲전문적 역량을 갖춘 교원을 양성한다는 주요 추진계획을 수립했다.

최교진 세종시 교육감은, "우리 아이들의 꿈은 교실과 학교가 만들어 내는 변화로부터 시작됨을 이도프로젝트가 보여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면서, "세종 아이들은 세종이도프로젝트를 통해 교사와 전문연구원, 첨단 기자재의 도움을 받아 한층 더 수준 높은 융합 교육을 받음으로써 이공계 인재로서 우리 미래를 밝혀나갈 핵심 인재로 도약할 것"이라고 말했다.

최 교육감은 이어서, "세종이도프로젝트로 세종의 모든 아이들이 수학으로 생각하는 힘을 키우고 과학으로 꿈을 꾸게 될 것"이라면서, "앞으로 디지털‧AI로 생각과 꿈을 실현하여 미래사회의 주역이 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해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세계적인 투자기관인 모건스탠리는 10년내 로봇과 휴머노이드 시장 규모가 60조 달러에 이를 것으로 예상하고 있어, 이는 전 세계 자동차 시장의 20배에 달하고 스마트폰 혁신을 능가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